IT스칼라 - 리팩토링멘토링/리팩토링멘토링 - CERT

리팩토링멘토링 CERT 1주차

업염화 2025. 5. 13. 00:27

침해대응 CERT 1주차.pptx
0.26MB

 

1. CERT의 정의

정의: CERT = 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.
=
컴퓨터 비상 상황 대응팀.
주로 사이버 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업무를 진행함.
보안사고가 발생하면, 해당 사고에 대한 원인 및 피해 규모를 신속하게 파악한 후 대책을 수립.
최종적으로는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업무를 수행.

1-1. 보안관제와 CERT의 차이.

보안관제: 실시간 모니터링에 포커스.
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악성 코드, 데이터베이스 침투 등에 대처함. = 최전선 병력.
CERT: 모든 종류의 침해사고에 발생.
Ex:
이번 SKT 보안 사고를 예시로 들면, 해킹이나 DB 침투가 발생했을 때, 빠르게 초기 대응을 진행하고, 해당 사건에 대한 분석 및 대응방안 강구를 진행(했어야)하는 것이 CERT.


=>
그러므로, 실시간 모니터링에 집중하는 보안관제의 영역과는 차이가 있음. CERT 쪽이 보다 넓은 영역을 전담함.


2. CERT의 업무 프로세스

KISA 기반, CERT의 업무 프로세스 사진

 

1. 사고 전 준비/예방
침해 사고 발생 전에, 일어날 사고를 미리 준비하는 단계.
대처 방안 논의를 진행함.
2. 사고 탐지.
보안 시스템, 또는 관리자에 의한 이상 징후 포착.
이상 징후 예시: 로그인이 여러 차례 실패함,
웹 서버의 경고 페이지, 출처 불명의 파일이나 프로그램 발견 .
3. 초기 대응
사고 발생 초기에 조사를 수행함.
사고 정황을 파악하여, 침해 행위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함.
관련 부서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통지한다.
4. 대응 전략 체계화.
3
을 기반으로, 사고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함.
대응 방법에 따라 회사 전반의 업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.
=>
신중하게, 하지만 빠른 선택이 요구됨.
5. 사고 조사.
4
에서는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면, 이 단계에서는 원인 및 피해 규모를 분석함.
공격 시작~종료 시점까지, 공격의 종류/피해 규모 등을 파악함.
6. 보고서 작성
2~5
의 과정을 바탕으로 보고서 작성.
모든 정보를 정리해야 하므로, 육하원칙 기반의 객관적 태도가 요구됨. 특히, 공격 시간/대응 시간 등의 수치는 정확하게 기입해야 함.
7. 복구 및 해결 과정
지난 단계, 특히 5단계의 내용을 토대로, 다음 공격을 대비한 각종 대비책을 수립한다.
단기/장기 보안 정책, 절차 강화, 기술 수정 계획 수립 등을 포함.